이제 우리는 인공지능(AI)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가장 흔히 우리가 AI를 떠올릴 때는 ‘자동차 운전’, ‘음성 인식’, ‘챗봇’ 등 일상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모습을 생각하게 됩니다. 하지만 AI는 이제 일상적인 부분을 넘어 세계 경제와 국가 간 경쟁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세계적인 AI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것처럼, AI의 발전은 인류의 파멸을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AI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AI가 잘못된 정보를 제공해도 우리가 비판적인 시각을 갖기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AI를 통제하는 국가가 세계 패권을 쥐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는 이미 AI 기술의 발전을 목격하며, 주요 국가들이 AI 전략을 개발하고 있는 것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미국이 AI 분야에서 강력한 리더십을 유지해야 한다”는 방침 아래 AI 규제를 완화하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은 정부의 강력한 통제력 아래 AI 전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AI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AI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최고급 AI 연구 인재를 양성하는 것입니다. 이미 KAIST나 서울대와 같은 우리나라의 대학원에서는 훌륭한 AI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지만, 그들 대부분은 해외로 나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해외에서 연구 환경이 더 좋고, 인프라가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AI 연구를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결국, AI 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 국가는 AI를 잘 이해하고, 적절한 전략을 세우며, AI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국가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국가가 되기 위해선 학문, 산업, 정부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